콘텐츠로 건너뛰기
홈STORE천문인 장터천문인 포럼천문인 갤러리UNAWE
로그인 회원가입
  • 추천 갤러리
  • 유저 갤러리
  • 전체
  • 일반
  • 태양계
  • 딥스카이
  • 밤하늘/별자리
  • 기타
  • 2021-10-27 달 [1]
    Vixen Fl80s eosM + 2x barlow  제가 가장 좋아하는 달 모양이네요  고도가 낮아 색이 누렇습니다ㅎㅎ
    오창희
    2021.10.27
    일반
    Vote 2
  • 2021-10-24 달
    관측  기록 겸 베란다에서 촬영한 달 입니다. 한 장 이라 이미지가 거칠거칠합니다 ^^;; 망원경에 쌍안장치를 연결해서 보는 달은 정말 환상적이네요.. Vixen FL-80S  EOSM 아이폰 라이트룸 앱 보정.  
    오창희
    2021.10.25
    태양계
    Vote 1
  • 멜로테 15 [1]
        강한 월광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찍어본 Mellote 15입니다. 하트성운 중앙에 있는 밝은 대상인데 확실히 밝기가 좋다보니 강한 월광에도 잘 나와주네요. 한동안 RC6의 광축과 씨름을 했었는데 이제조금 안정화가 되어가는 느낌입니다. 다만 아직 가이드가 완벽하지는 않는지 가이드 그래프가 들쑥날쑥한게 마음에 여전히 걸리네요. 다음에는 더욱 좋은사진으로 다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총노출: 5분씩 11시간 30분 장비 적도의 : HEQ5 경통 : RC6 + 솔로몬 .8리듀서 카메라 : touptek 26000kpa 필터 : L-extreme 가이더 : ASI 290mc / 솔로몬 edp60 촬영소프트웨어 : NINA
    이남경
    2021.10.21
    딥스카이
    Vote 4
  • NGC 7380 Wizard [1]
    Hello, I'm Brian First light from Pyeongtaek with only 5 hours (boreal 7). I choose NGC7380, because it's harder than most DSOs. I can read Korean better than writing   https://www.astrobin.com/eb114o/ Details Imaging telescopes or lenses:  RedCat 51 William optics Imaging cameras:  ZWO 183mc Pro Mounts:  ioptron cem 26 ioptron Filters:  L-extreme 2" Optolong Dates: Sept. 24, 2021 Frames:  100x180"  (5h) Integration:  5h Avg. Moon age:  18.06 days Avg. Moon phase:  88.21%
    Bryan
    2021.10.04
    딥스카이
  • 추석 달
    내일은 비가 온다고 하여 베란다에서 미리 달을 찍어 보았습니다. 다들 풍성한 한가위 되시길...   촬영일 : 2021.09.20 망원경 : FS60Q 카메라 : eosM
    오창희
    2021.09.20
    태양계
  • 스파게티성운 [2]
    Date 20. 11.22 양평 20. 12.13 단양 20. 12.20 인제   Location 양평 친구고개 단양 알면다치리(가명) 인제 942   Camera : nikon d610 망원경 : skyrover 70sa 페츠발경통 초점거리 350mm 구경 70mm   Setting F/5 iso200 10min씩 12hour 30min L-extreme duo filter RGB 9시간
    이남경
    2021.09.19
    딥스카이
    Vote 2
  • M101 바람개비은하
    Date21.02.20 Location강원도 인제 Camera : nikon d5300망원경 : GSO RC6"초점거리 1360mm (F9) + 0.8 reducer Settingiso200 5분씩 4시간 30분
    이남경
    2021.09.19
    딥스카이
    Vote 1
  • 샤플리스-308 : 돌고래 성운 (Sharpless-308: The Dolphin Nebula) [1]
    샤플리스-308 : 돌고래 성운 (Sharpless-308: The Dolphin Nebula)뜨겁고 거대한 별에서 불어나오는 빠른 바람이 이 우주 거품을 아주 크게 부풀려 돌고래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샤플리스 2-308이라고 등록된 이것은 큰개자리 쪽으로 약 52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우리 하늘에서 보름달보다 약간 더 크다. 따라서 추산된 거리를 기준으로 할 때 지름이 약 60광년이다. 거품을 만든 거대한 별은 울프-레이예 별로 성운 중심 근처 밝은 별이다. 울프-레이예 별은 질량이 우리 태양의 20배가 넘으며 (별이) 초신성이 되기 전 거치는 짧은 단계라고 생각된다. 울프-레이예 별에서 불어나오는 빠른 항성풍이 앞선 항성진화단계에서 방출된 느린 물질들을 휩쓸어 거품모양 성운을 만들었다. 바람부는 성운의 나이는 약 7만 년이다. 위 넓은 사진에 포착된 비교적 희미한 빛은 이온화된 산소 원자가 내는 것으로 이 사진에서 푸른 색으로 표시됐다.Blown by fast winds from a hot, massive star, this cosmic bubble is much larger than the dolphin it appears to be. Cataloged as Sharpless 2-308 it lies some 5,200 light-years away toward the constellation of the Big Dog (Canis Major) and covers slightly more of the sky than a Full Moon. That corresponds to a diameter of 60 light-years at its estimated distance. The massive star that created the bubble, a Wolf-Rayet star, is the bright one near the center of the nebula. Wolf-Rayet stars have over 20 times the mass of the Sun and are thought to be in a brief, pre-supernova phase of massive star evolution. Fast winds from this Wolf-Rayet star create the bubble-shaped nebula as they sweep up slower moving material from an earlier phase of evolution. The wind blown nebula has an age of about 70,000 years. Relatively faint emission captured in the featured expansive image is dominated by the glow of ionized oxygen atoms mapped to a blue hue.2021.01.14CHOU KYONG CHOL OBSERVATORYTelescope : Vixen ED81SMount : Celestron AVXCCD : ZWO ASI 533MC ProGuide scope : SVBONY 30mmGuide CCD : QHY 5 MMFilter : Quad  filter  Light DATA  -26°C2021.01.07 Light 202021.01.08 Light 362021.01.09 Light 332021.01.10 Light 422021.01.10 Light 31 
    유선목
    2021.09.19
    딥스카이
    Vote 1
  • 보데은하(Bode's galaxy, M81)
    보데은하(Bode's galaxy, M81)M81은 동양에서 북두칠성으로 잘 알려진 큰곰자리에 위치한 아름다운 나선은하이다. Sb형의 6.8등급으로 소형망원경이나 큰 쌍안경으로도 관측할 수 있는 밝고 아름다운 은하로, 1774년에 보데(Johann Elert Bode)가 발견하여 보데의 은하(Bode's galaxy)라고도 부른다.그 후 1779년 피에르 메카인이 M81과 M82를 재발견하여 샤를 메시에에게 그것들을 보고하였고, 샤를 메시에는 1781년에 위치를 측정하여 자신의 81번째 목록에 포함시켰다.노랗게 보이는 중심부의 밝은 핵은 우리은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며, 나이가 수 십 억년인 늙은 별들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푸른빛을 내는 나선팔 부분에는 젊고 뜨거운 별이 많이 모여 있으며, 현재도 새로운 별이 탄생하고 있다.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M81내의 32개의 세페이드 변광성을 정밀 관측한 결과, 거리는 1,170만 광년이다.Discovered by the German astronomer Johann Elert Bode in 1774, M81 is one of the brightest galaxies in the night sky. It is located 11.6 million light-years from Earth in the constellation Ursa Major and has an apparent magnitude of 6.9. Through a pair of binoculars, the galaxy appears as a faint patch of light in the same field of view as M82. A small telescope will resolve M81’s core. The galaxy is best observed during April.  This stunning Hubble image was assembled using observations in visible and infrared light. The galaxy’s spiral arms, which wind all the way down into its nucleus, are made up of young, bluish, hot stars formed in the past few million years. They also host a population of stars formed in an episode of star formation that started about 600 million years ago. Ultraviolet light from hot, young stars is fluorescing the surrounding clouds of hydrogen gas. A number of sinuous dust lanes also wind all the way into the nucleus of M81.The galaxy’s central bulge contains much older, redder stars. It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Milky Way’s bulge. A black hole of 70 million solar masses resides at the center of M81 and is about 15 times the mass of the Milky Way’s central black hole. Previous Hubble research showed that the size of the black hole in a galaxy’s nucleus is proportional to the mass of the galaxy’s bulge.- 명칭 : M81 (NGC 3031)- 별자리 : 큰곰자리- 적경 : 09h 55.6m- 적위 : +69° 04'- 겉보기등급 : 6.9 등급- 겉보기크기 : 21' x 10' (arc minutes)- 거리 : 1,200만 광년- 형태 : 나선은하 (Sb)2021.01.19CHOU KYONG CHOL OBSERVATORYTelescope : Celestron EdgeHD 11Mount : Celestron CGXCCD : ZWO ASI 294MC ProGuide scope : Viexn ED81SGuide CCD : ZWO ASI 224MCFilter : L-Pro 
    유선목
    2021.09.19
    딥스카이
    Vote 3
  • 석호성운(Lagoon Nebula,M8, NGC 6523), 삼렬성운(Trifid Nebula,M20, NGC 6514) 
    석호성운(Lagoon Nebula,M8, NGC 6523), 삼렬성운(Trifid Nebula,M20, NGC 6514)  [석호성운, M8]석호성운은 1680년 존 플램스티드에 의해 산개성단(NGC 6530)이 먼저 발견되고, 1747년이 되어서야 르 장티에 의해 산개성단 주변의 성운이 알려졌다. 이 후 1764년 5월 샤를 메시에가 자신의 목록에 8번째로 이 성운을 등록하였다.석호성운은 약 40여개의 별로 이루어진 산개성단 NGC 653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석호성운의 가운데에는 주변보다 어두운 영역에 의해 3개의 밝은 영역로 나뉘어져 보이는데, 이 부분 내부에는 원시별(protostar)로 생각되는 구상체(globules)가 관측되는 것이 특징이다.  [삼렬성운, M20] 삼렬성운은 1764년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20년 뒤 윌리엄 허셀(William Herschel)이 독자적인 목록을 만들면서 성운을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이름을 붙여 구분하였다. 이 후 그의 아들 존 허셀이 처음으로 삼렬성운(Trifid Nebula)이라고 불렀다.이 성운은 붉은 영역은 발광성운이며, 중심에는 젊은 성단을 품고 있다. 수소 가스 덩어리인 방출 성운은 수소가 이온화하면서 붉은 빛을 낸다. 그 앞에 암흑성운(B 85)이 있어 3개의 꽃잎 모양을 만든다. 발광성운 뒤쪽에는 푸른 반사성운이 둘러싸고 있으며 이 영역에 새로운 별이 탄생하고 있다.   - 별자리 : 궁수자리(Sagittarius)- 명 칭 I : 석호성운(Lagoon Nebula,M8, NGC 6523), 삼렬성운(Trifid Nebula,M20, NGC 6514)- 적경(R.A.): 18h 03m 37s, 18h 02m 23s, 18h 10m- 적위(Dec): -24° 23' 12", -23° 01' 48", -24° 06'- 겉보기크기: 90’ x 40’, 28', 40’- 겉보기등급: 6, 9, --- 분 류: 발광성운, 발광성운+반사성운, 발광성운- 거리(광년): 5,200, 5,200ly  2021.05.12CHOU KYONG CHOL OBSERVATORYTelescope : Celestron RASA 8`Mount : Celestron CGXCCD : ZWO ASI 294MC ProGuide scope : Svbony 30mmGuide CCD : QHY 5II-MMFilter : UV/IR filter 
    유선목
    2021.09.19
    딥스카이
    Vote 1
  • IC 1369, 코끼리코성운과 VDB142 (Elephant‘s Trunk nebula and VDB142) 
    IC 1369, 코끼리코성운과 VDB142 (Elephant‘s Trunk nebula and VDB142)  붉은 발광성운으로 둘러 쌓여 있는 산개성단 IC 1396이다. 사진의 붉은 색의 성운은 마치 우주 반대편 속으로 빠져나가는 터널처럼 보인다. IC 1396은 젊고 푸른 별들이 모인 산개성단으로, 위 사진에서 중심을 관통하며 비스듬히 넓게 펴져 박혀 있다.  붉은 성운에는 많은 검은 암흑성운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특히 이 성운의 오른쪽 옆구리에는 뱀 모양으로 길쭉하게 돋아나와 빼어난 자태를 자랑하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코끼리코 성운(VDB 142)이다. 코끼리코 성운은 먼지와 가스가 매우 짖게 뭉쳐 있는 혜성형구상체(cometary globule)가 있다. 혜성형구상체는 새로운 별이 탄생하는 요람이기도 하다.  - 명칭 : IC 1369, 코끼리코성운(Elephant‘s Trunk nebula)- 별자리 : 세페우스(Cepheus)- 적경(R.A.) : 21h 38m 08.7s- 적위(Dec) : +57° 26' 48"- 겉보기등급 : 3.5- 겉보기크기 : 176' x 105'- 분류 : 발광성운(emission nebula)- 거리 : 2,500 광년  2021.05.18CHOU KYONG CHOL OBSERVATORYTelescope : Sharpstar61 EDPHMount : Celestron CGXCCD : ZWO ASI 294MC ProGuide scope : Svbony 30mmGuide CCD : ZWO ASI 224MCFilter : Optlong 
    유선목
    2021.09.19
    딥스카이
    Vote 1
  • 안드로메다은하(M31)
    안드로메다은하(M31)안드로메다은하(M31, NGC 224)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천체로, 가을철 밤하늘에 희미하게 빛나는 외부은하이다. 기록으로는 964년에 페르시아의 천문학자 알수파(Abd Al-Rahman Al Sufi)가 지은 “The book of the Fixed Star”에 “작은 성운(little cloud)”으로 기록한 것이 최초이다.안드로메다 별자리에 위치한 나선은하 (Sb)로, 우리은하와 매우 흡사한 모습을 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질량은 우리은하의 약 1.5배 정도 되며, 수천억 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 맑은 날 육안으로도 볼 수 있다. 우리은하와 M33 그리고 M31의 동반은하인 2개의 작은 타원은하인 M101(아래 오른쪽), M32(가운데 왼쪽)와 함께 국부은하군을 형성한다.현재 안드로메다 성운의 거리는 220만 광년이나 되는 먼 거리에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것이 은하계 밖의 천체임을 인식한 것은 아직 100년도 되지 않았다. M31이 우리은하 안에 있는지, 밖에 있는지의 문제는 1920년에 있었던 샤플리와 커티스 간의 유명한 대논쟁 주제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1923년 에드윈 허블이 윌슨산의 60인치 망원경을 이용하여 세페이드 변광성을 발견한 이후, 안드로메다 성운이 우리은하가 아닌 외부은하라는 것이 밝혀졌다.- 적경(RA) : 00h 42.7m- 적위(Dec) : +41° 16'- 형태 : Sb- 거리 : 220만 광년- 겉보기등급 : 3.4 등급- 겉보기크기 : 178' x 63'- 실제크기 : 65,000광년2021.08.14CHOU KYONG CHOL OBSERVATORYTelescope : Celestron RASA 8`Mount : Celestron CGXCCD : ZWO ASI 294MC ProGuide scope : Svbony 30mmGuide CCD : QHY5 II-L MFilter : Quad BP II filter 
    유선목
    2021.09.19
    딥스카이
    Vote 2
  • NGC 7293 - 헬릭스 성운 (Helix Nebula)
      촬영대상: NGC 7293 - 헬릭스 성운 (Helix Nebula) 위치: RA 22h 29m 39s | Dec -20° 50′ 14″ 물병자리 부근 촬영망원경: Celestron Edge HD 800 촬영카메라: Zwo ASI2600MM Pro 촬영적도의: SkyWatcher NEQ6 Pro 가이드: Zwo OAG + Zwo ASI174MM Mini Light Frame: Antlia Ha 3nm - 240s X 98 Antlia Oiii 3nm - 240s X 86 Dark Frame: 240s X 80 Bias Frame: 0.000032s X 80 Flat & Dark Flat Frame: 30장씩 스택프로그램: AstroPixelProcessor  보정프로그램: Adobe Photoshop 2021 CC & Adobe Lightroom Classic CC & Pixinsight 촬영시간:  Ha - 2021. 09.08  OIII - 2021.08.18, 2021.09.10, 2021.09.11, 2021.09.12 촬영장소: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천문대길 431, 화천 조경철 천문대
    송정우
    2021.09.19
    딥스카이
    Vote 2
  • 하트성운 (Heart Nebula, IC 1805, NGC896, Sh2-190)
    하트성운 (Heart Nebula, IC 1805, NGC896, Sh2-190)붉은 색의 발광성운이 하트(heart)모양을 하고 있어 보통 하트성운(Heart Nebula)이라 불린다. IC 1805를 엄밀하게 말하면, 하트 중앙에 있는 약 1,500만 년 전에 태어난 산개성단(CR 34 또는 Melotte 15)을 포함한 붉은 성운체 모두를 일컫는다.  성간 가스와 먼지의 구름으로 구성된 하트성운은 전체적으로는 붉은 빛을 띠고 있다. 푸른색 성단 내의 젊고 뜨거운 별들로부터 뿜어내는 자외선에 의해 이를 둘러싸고 있는 수소가스가 방출선(H-alpha)을 내기 때문이다.   IC 1805라고 불리는 거대한 발광 성운은 전체적으로 마치 하트처럼 보인다. 성운은  먼지와 가스로 모양의 만들며 성운에서 새로 태어난 성단 멜로테15의 무겁고 뜨거운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과 복사열을 발산한다. 이 깊은 망원경 사진은 성운 속의 수소, 산소, 그리고 황에서 나오는 가느다란 방출선의 빛이 곳곳으로 스며들고 있다. 이 우주의 하트는 에티오피아의 아름다운 전설 속 여왕,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찾을 수 있다.  What powers the Heart Nebula? The large emission nebula dubbed IC 1805 looks, in whole, like a heart. The nebula's glow -- as well as the shape of the gas and dust clouds -- is powered by by stellar winds and radiation from massive hot stars in the nebula's newborn star cluster Melotte 15. This deep telescopic image maps the pervasive light of narrow emission lines from atoms of hydrogen, oxygen, and sulfur in the nebula. The field of view spans just over two degrees on the sky, so that it appears larger than four times the diameter of a full moon. The cosmic heart is found in the constellation of Cassiopeia, the boastful mythical Queen of Aethiopia .  - 명칭 : 하트성운 (IC 1805)-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Cassiopeia)- 적경(R.A.) : 02h 32m 42s- 적위(Dec) : 61° 27' 00"- 겉보기등급 : 6.5- 겉보기크기 : 60’ (arc min)- 분류 : 발광성운(emission nebula)- 거리 : 7,500 광년  2021.09.09CHOU KYONG CHOL OBSERVATORYTelescope : Celestron RASA 8`Mount : Celestron CGXCCD : ZWO ASI 294MC ProGuide scope : Svbony 30mmGuide CCD : QHY5 II-L MFilter : Quad BP II filter
    유선목
    2021.09.19
    딥스카이
    Vote 1
  • 오리온대성운(Great Orion Nebula), M42, NGC 1976
    오리온대성운(Great Orion Nebula), M42, NGC 1976  오리온 성운은 일부 광공해 피해를 받는 지역에서도 육안으로 관측 가능할 정도로 밝다. 오리온 띠 남쪽에 있는 3개의 별인 "소삼태성"의 중간에 별처럼 보이는 것이 오리온 성운이다. 육안으로는 흐릿하게 별처럼 보이며,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통해서 그 모습을 상세하게 볼 수 있다. 중심부의 최대 겉보기 밝기는 17 Mag/arcsec²이며 바깥쪽의 청색광 지역의 최대 밝기는 21.3 Mag/arcsec²에 달한다  명칭 : 오리온대성운(Great Orion Nebula), M42, NGC 1976- 적경 : 05h 35m 24s- 적위 : -05° 27' - 등급 : 4.0- 거리 : 1600광년 - 각크기 : 85'x60  2021.09.11CHOU KYONG CHOL OBSERVATORYTelescope : Celestron RASA 8`Mount : Celestron CGXCCD : ZWO ASI 294MC ProGuide scope : Svbony 30mmGuide CCD : QHY5 II-L MFilter : Quad  filter 
    유선목
    2021.09.19
    딥스카이
    Vote 1
  • 처음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02-416-0376 (평일 10:00 ~ 18:00)

02-6974-1737 (fax)

master@sllab.co.kr

국민은행 810101-04-059178
김정현(SLLAB)

(17036)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옥대로 2186번길 68

※ 외부출장이 잦은 관계로 방문시 전화부탁드립니다.

상호명 : (주)에스엘랩

대표이사 : 김정현

사업자등록번호 : 409-87-00246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20-서울양천-1910호 (변경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