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해상도로 촬영한 달(2023. 3. 10.) [2]고해상도로 촬영한 달입니다. 18장을 모자이크 합성 후에 70% 크기로 축소했습니다.작은 사진으로는 제대로 살아나지 않으므로 확대하거나 다운로드해서 큰 사진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 촬영 일시: 2023. 3. 10. 15:38~16:00(UTC)- 촬영 장소: 대전- 망원경: Celestron C6 XLT- 보정렌즈: 윌리엄옵틱스 쌍안장치용 1.6배 바로우, ZWO ADC- 가대: Skywatcher AZ-GTi 경위대- 카메라: ZWO ASI585MC- 소프트웨어: ASICap, AutoStackkert 3, Photoshop- 18장 모자이크김창환2023.03.13태양계
8
- 사랑과 영혼사이 [2]사랑과 영혼사이 숨은그림이 있습니다. 행성상 성운 잘 찾아보세요 동그라미 속 천체는 타원형의 행성상성운(PN)으로 보입니다.이름 : WeBo 1좌표 : 02 40 14.37 +61 09 16.79 (2000)발견 : 1995년이수봉2023.02.16딥스카이
5
- 11월 8일 개기월식 쌍안경 어포컬 [1]천문대를 몇번 가본 뒤에 천체 관측에 대한 막연한 동경을 가지고 있었는데 얼마 전 쌍안경을 사서 집 앞에서 밤하늘을 보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개기월식을 사진으로 남기고 싶어서 쌍안경에 어포컬 어댑터를 달아 컴팩트 카메라로 열심히 찍은 다음 포토샵으로 작업했습니다 언젠가 큰 구경의 망원경으로 안시 관측도 해보고, CCD로 딥스카이도 찍어보고 싶습니다 Nikon Prostaff P7 8x42 Sony RX100M7김민상2022.11.13태양계
6
- M104 The Majestic Sombrero Galaxy 처녀자리 솜브레로 은하 [1]. 안녕하세요 반크입니다. *특정 모니터나 폰화면에서는 은하주변이 자연스레 표현되지 않아 은하가 아닌 마카롱으로 보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처녀자리에는 은하단과 더불어 은하들이 참 많은데요, 그 중에 저의 최애 대표 은하는 M104입니다. 정면 얼굴을 보여주지 않고 옆모습만 보여준다고 관련 시도 적어본 적이 있었는데요. 마음에 들지 않는 천체 이름 중 1위도 솜브레로 은하입니다. 이 아름답고 신비로운 형상을 멕시코 모자라니요!!! 우리나라에서 관측되는 높지 않은 고도와 하늘 상태, 8인치 RC로 표현될 수 있는 디테일에서 오는 한계는 당연히 있겠지만, 가능한 선에서 최대한 잘 담아오고 싶었던 마음이 있어 출사 전 광축도 새로 조정하고, 리듀서 없이 1600mm FL로 촬영할 수 있게 비축 세팅도 테스트하고 모든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촬영을 노력한만큼 보정도 3일에 걸쳐 짬날때마다 많이 신경썼으니... 현재 제 실력과 상황으로 낼 수 있는 최선의 결과물인 거 같아 뿌듯하네요. 감히 The Majestic Sombrero Galaxy 라 제목 붙여보았습니다. ^^ "Shoot for the moon even if you miss, you’ll land among the stars" Dates 2022.05. 04 Locations 영월 Imaging telescopes or lenses GSO RC8 Mounts SONA1717 / Telescope Pier Guiding telescopes and cameras Hercules OAG, ASI120mm mini Imaging cameras Touptek26000 Mono Frames Altlia Lum 82x120" gain100, -10℃ bin 1x1 Altlia R 10x180" gain100, -10℃ bin 1x1 Altlia G 10x180" gain100, -10℃ bin 1x1 Altlia B 10x180" gain100, -10℃ bin 1x1 Software NINA / PHD2 / Pixinsight박영록2022.05.10딥스카이
6
- 월령 3.4일 (12.4%)의 달 [2]모든 월령의 달을 찍기 프로젝트를 진행 중으로 어제 또한 초승달을 찍어보았습니다. 망원경: 10인치 돕소니안 아이피스: Pentax XW 20mm 카메라: 아이폰 8+문준혁2022.02.05태양계
5
- 말머리 성운(B33)과 그 일대 [5]안녕하세요. 아빠별입니다. 여기에는 처음 올려보네요. 사진은 최근 홍천에 가서 찍은 말머리 성운과 그 일대입니다. 가장 대중적이고 멋전 대상이 아닌가 싶습니다. 가끔씩 놀러와서 제 사진도 공유하겠습니다. Place : Hongcheon Date : 2022-01-31Telescope : Esprit 120ED, 0.77x reducerMount: SONA 25-25 Harmonic EQ mountGuide : SvBony 60mm f/4, ZWO ASI 120mmCamera : ZWO ASI 2600mm pro, Gain 100, offset 50, Temperature -10CFilters : ZWO 36mm, LRGBExposure : L : 400sec x 15, R : 300sec x 10, G : 300sec x 10, B : 300sec x 10, Flat, Dark, BiasSoftware : ASIAIR plus, PixInsight, Photoshop지용호2022.02.03딥스카이
6
- M82 시가은하 [2]그토록 바라던 M82데이터를 모두모아 드래곤볼을 완성시켰습니다. 참으로 힘든 과정이였습니다. 구경의 한계가 있지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하였지만 서브프레임 샐렉션과 가이딩 그리고 광축에 더욱 신경을 쓰니 어느정도 괜찮은 퀄리티를 보여주는군요 ㅎㅎ. 더 좋은사진으로 다시 찾아뵙도록하겠습니다. 주변에 휼륭한 스승을 모신다는것은 행복한 것임을 다시한번 깨닫게 되는군요. 항상 많은 가르침을 베풀어주시는 제 스승분들이자 은인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촬영 일시 : 2021년 12월 ~ 2022년 1월 31일까지 - 촬영 장소 : 화천 조경철천문대 - 망원경 (경통/렌즈) : GSO RC6" - 보정렌즈(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solomon .8 reducer flatter -가대(삼각대) : Az-Eq6 Gt , HEQ5 (중간에 기기변경) -가이드경/ 가이드 카메라 : 60mm / 290mc - 카메라(모델명 및 설정) : ASI 183mm ha: gain 200 / LRGB gain 111 -필터 : 구형 바더필터 LRGB / ZWO Ha -촬영노출: L : 2min x 500 RGB : each 2min x 150 ha : 5min x 160 total :45hours -소프트웨어 : NiNA, pixinsight 태그이남경2022.02.01딥스카이
8
- M81, M82 은하촬영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촬영 일시 : 2018.1.20, 2018. 2.8 ~ 9 (Canon EOS M6) 2020.3.23~24 (ASI2600MC Pro)- 촬영 장소 : 강원도 횡성- 망원경(경통) : 자작 8 인치 뉴턴식 반사 ( GSO 8인치 F/4 +파라코어 Type 2)- 가대(삼각대) : 2018년 ==> 자작 적도의, 2020년 ==> NJP-ATACAMA (벨트 드라이브 개조 NJP)- 카메라 : Canon EOS M6, ZWO ASI2600MC Pro- 촬영 설정 및 노출 : EOS M6 => ISO 500, ISO 400, 5분 x 102 장, 7시간 25분ZWO ASI2600MC Pro => Gain 100, Offset 30, 영하15도, 5분 x 54장, 4 시간 30분,총 11시간 55분- 이미지 처리 : DSS, Lightroom CC, Photoshop이준화2022.01.18딥스카이
7
- 말머리 성운 (B33) [2]촬영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촬영 일시 : 2022년 1월 7일 저녁 ~ 8일 새벽- 촬영 장소 : 강원도 횡성- 망원경(경통) : SDP 71 II (구경 71mm F/4.9 초점거리 350mm APO 굴절 망원경)- 가대(삼각대) : 빅센 GP (벨트 드라이브+적위축 하모닉 감속기 개조+자작 적도의 제어기)- 카메라 : ASI2600MM Pro (영하 15도, Gain 100, Offset 100, AP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촬영)- 필터 : Astronomik MaxFR 6nm Ha, S2, O3 (unmounted, 36mm round filters)- 필터 휠 : New ZWO EFW 7x36mm- 가이드 망원경 : GSO 60mm Guiding Scope (초점거리 280mm, f/4.6)- 가이드 카메라: ASI290MM mini, PHD2 와 APT 프로그램을 사용한 Dithering 촬영 (1장 촬영마다 dithering 합니다.)- 촬영 설정 및 노출 : Ha (5분 x5 = 25분), S2 (5분 x6=30분), O3(5분 x4=20분), 총 1시간 15분- Flat 이미지는 촬영하지 않았습니다. (Dark(5장) 와 Bias(20장) 이미지는 사용하였습니다.)- 이미지 처리 : 전처리 ==> DeepSkyStacker 4.2.6 (image stacking), 후처리 ==> Photoshop, Lightroom classic(명암 및 색상 조정)이준화2022.01.18딥스카이
6
- 태양과 흑점(2021. 12. 19.) [2]2021년 12월 19일에 촬영한 태양입니다. 활동 극소기가 끝나면서 흑점이 점점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납니다. - 자작 60mm 굴절망원경(필터 장착으로 유효구경이 45mm로 감소) - Baader 태양필터김창환2021.12.21태양계
6
- 말머리와 오리온 [3]김태욱2021.11.21딥스카이
9
- M27 - 아령성운 HOO [1]촬영대상: M27 - 아령성운 HOO버전 위치: RA 19h 59m 35s | Dec +22° 43′ 16″ 작은여우자리 부근 촬영망원경: Celestron Edge HD 800 촬영카메라: Zwo ASI2600MM Pro 촬영적도의: SkyWatcher NEQ6 Pro 가이드: Zwo OAG + Zwo ASI174MM Mini Light Frame: Antlia Ha 3nm - 240s X 169 Antlia Oiii 3nm - 240s X 100 Dark Frame: 240s X 150 Bias Frame: 0.000032s X 200 Flat & Dark Flat Frame: 50장씩 스택프로그램: AstroPixelProcessor 보정프로그램: Adobe Photoshop 2021 CC & Adobe Lightroom Classic CC & Pixinsight 촬영장소: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천문대길 431, 화천 조경철 천문대송정우2021.10.31딥스카이
5
- 하현달(2021. 9. 30.) [7]오랜만에 구름이 걷힌 하늘이라 촬영해 보았습니다. 고도도 낮고, 실내에서 작은 창을 열고 촬영을 한 까닭에 시상은 상당히 안 좋았습니다. 그렇지만 60mm로 구경이 작은지라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받았습니다. 기록하는 의미로 남겨 봅니다. - 촬영 일시: 2021. 9. 30. (KST) - 촬영 장소: 서울 양천구 - 망원경: 자작 60mm ED F5.5 굴절 - 보정렌즈: 스보니 3배 바로우렌즈 - 가대: AZ-GTi 경위대 - 카메라: ZWO ASI224MC - 촬영노출: 16ms 노출로 45초 영상 촬영 후 합성(상위 30%), 9장 모자이크 - 소프트웨어: ASICap, AutoStackkert 3, Photoshop, Astra Image김창환2021.10.04태양계
8
- 60mm 망원경으로 본 태양계 [9]60mm 굴절망원경으로 촬영한 태양계 천체입니다. 60mm 망원경으로도 이 정도 관측이 가능하다는 정도로 보시면 좋겠습니다. 망원경: 60mm 자작 굴절(금성은 초점거리 360mm 아크로매틱 렌즈로 찍었고, 나머지는 330mm ED 아크로매틱 렌즈를 썼습니다) 카메라: ASI224MC 가대: 스카이워처 AZ-GTi 경위대 2배 또는 3배 바로우렌즈 소프트웨어: AutoStakkert 3, ASICAP, Astra Image 최대이각 무렵에 촬영한 금성입니다. F6인 단초점 렌즈로 찍었지만 생각보단 색수차가 적게 찍혔습니다. 작은 망원경으로도 금성의 위상 정도는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0년 5월 5일입니다. 2020년 대접근 때 촬영한 화성입니다. 대접근 때는 극관과 표면의 큰 지형 정도는 보입니다. 이때부터는 ED 렌즈를 사용했습니다. F5.5 단초점이긴 하지만 그래도 저분산 소재라 색수차는 많이 줄었습니다. 2020년 9월 27일입니다. 달입니다. 여러 부분을 나눠 촬영한 다음 모자이크로 합쳤습니다. 달은 60mm 망원경으로도 생각보다 꽤 선명하게 보입니다. 이 사진도 2020년 9월 27일입니다. 여기서부터는 목성입니다. 거대한 크기 덕에 줄무늬가 여럿 드러납니다. 2020년 9월 27일입니다. 이날은 날씨가 좋아 여러 천체를 촬영했습니다. 2021년 8월 11일입니다. 충을 10일 정도 앞둔 시점입니다. 2021년 8월 12일입니다. 대적반이 보입니다. 충을 일주일 남짓 앞둔 시점이라 세부를 보기에 유리합니다. 2021년 9월 19일입니다. 2021년 9월 19일입니다. 대적반이 앞으로 돌아나오는 시점입니다. 2020년 12월 20일입니다. 목성과 토성의 최근접 전날입니다. 2020년 9월 27일입니다. 토성입니다. 2021년 8월 11일입니다. 토성도 충 무렵이라 세부가 조금은 보입니다. 카시니의 틈도 흔적이 조금 보입니다. 같은 날 찍은 토성입니다. 위성이 잘 보이도록 노출을 많이 줬습니다.김창환2021.09.21태양계
6
- M45 & IC 348 & NGC1499 in the taurus molecular cloud. [1]M45 & IC 348 & NGC1499 in the taurus molecular cloud. Exposures 3min : 2hours , 5min : 4hours Selected 5hours 30min Nikon d610 Iso 800 Heq5 Samyang 135mm이남경2021.09.19딥스카이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