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딥스카이 천체사진을 위한 오토가이딩
촬영
작성자
이재열 (astropia)
작성일
2023-02-28 18:09
조회
10747
원문 : Autoguiding a Telescope for Deep-Sky Astrophotography
원문링크 : https://astrobackyard.com/autoguiding/
확실히 요즘의 오토가이딩 시스템은 예전 필름 카메라 시절에나 사용하던 오토가이딩 시스템보다 성능도 뛰어나고 한결 편리해진듯 합니다.
집 어딘가 찾아보면 SBIG ST-4 오토가이더의 유물이 어딘가 구석에 처박혀 있을겁니다.
중형 필름을 촬영해보겠다고 장만한 펜탁스 67도 두 대인가 있을듯...
그 중 한대는 필름 평탄화 개조도 되어있을겁니다.
디지털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고 남겨진 유물들이죠.
PS. 그동안 2단 편집을 했던 이유는 페이지를 줄여보자는 생각이었는데...
PDF로 변환하니 각 페이지의 둘째 단에서는 하이퍼링크가 먹히지 않는 버그가 있더군요.
결국 하이퍼링크 때문에 1단 편집을 했습니다.
구분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촬영 | [번역] 천체 사진을 위한 가이드 망원경 선택 촬영 이재열 | 2023.02.28 | 추천 0 | 조회 10798 | 이재열 | 2023.02.28 | 0 | 10798 |
촬영 | [번역] 딥스카이 천체사진을 위한 오토가이딩 [2] 촬영 이재열 | 2023.02.28 | 추천 2 | 조회 10747 | 이재열 | 2023.02.28 | 2 | 10747 |
장비 | [번역] ZWO ASIAIR Plus 리뷰 [1] 장비 이재열 | 2023.02.27 | 추천 0 | 조회 11066 | 이재열 | 2023.02.27 | 0 | 11066 |
촬영 | [번역] 은하수 촬영 방법 촬영 이재열 | 2023.02.26 | 추천 0 | 조회 11590 | 이재열 | 2023.02.26 | 0 | 11590 |
촬영 | [번역] 놀라운 천체사진을 위한 8가지 야경 촬영 팁 촬영 이재열 | 2023.02.25 | 추천 2 | 조회 11852 | 이재열 | 2023.02.25 | 2 | 11852 |
촬영 | [번역] 오늘밤 시도할 수 있는 일곱 가지 천체사진 팁 촬영 이재열 | 2023.02.23 | 추천 2 | 조회 12513 | 이재열 | 2023.02.23 | 2 | 12513 |
촬영 | [번역] 천체사진을 위한 바이어스 프레임 촬영 방법 [1] 촬영 이재열 | 2023.02.22 | 추천 2 | 조회 12715 | 이재열 | 2023.02.22 | 2 | 12715 |
촬영 | [번역] 천체사진을 위한 플랫 프레임 촬영 방법 촬영 이재열 | 2023.02.22 | 추천 1 | 조회 12012 | 이재열 | 2023.02.22 | 1 | 12012 |
촬영 | [번역] 천체 사진을 위한 다크 프레임 촬영 방법 [1] 촬영 이재열 | 2023.02.22 | 추천 2 | 조회 11765 | 이재열 | 2023.02.22 | 2 | 11765 |
촬영 | [번역] 딥스카이스태커 설명서 촬영 이재열 | 2023.02.21 | 추천 1 | 조회 7159 | 이재열 | 2023.02.21 | 1 | 7159 |
촬영 | [번역] 도시에서의 옵토롱 L-Ultimate 이중 협대역 필터 리뷰 [1] 촬영 이재열 | 2023.02.18 | 추천 0 | 조회 8114 | 이재열 | 2023.02.18 | 0 | 8114 |
촬영 | [번역] 옵토롱 L-eXtreme 필터 리뷰 촬영 이재열 | 2023.02.18 | 추천 0 | 조회 7957 | 이재열 | 2023.02.18 | 0 | 7957 |
촬영 | [번역] 옵토롱 L-Pro 필터 리뷰 촬영 이재열 | 2023.02.16 | 추천 0 | 조회 8252 | 이재열 | 2023.02.16 | 0 | 8252 |
촬영 | [번역] 인상적인 옵토롱 L-eNhance 필터 촬영 이재열 | 2023.02.13 | 추천 0 | 조회 8791 | 이재열 | 2023.02.13 | 0 | 8791 |
촬영 | [번역] 이미지 스태킹 소프트웨어 촬영 이재열 | 2023.02.06 | 추천 1 | 조회 10571 | 이재열 | 2023.02.06 | 1 | 10571 |
촬영 | [번역] 컬러 카메라의 협대역 이미징 [1] 촬영 이재열 | 2023.02.05 | 추천 1 | 조회 10467 | 이재열 | 2023.02.05 | 1 | 10467 |
촬영 | [번역] 천체사진을 위한 광해 필터 촬영 이재열 | 2023.02.05 | 추천 1 | 조회 10329 | 이재열 | 2023.02.05 | 1 | 10329 |
촬영 | [번역] 협대역 촬영 초보자 가이드 [2] 촬영 이재열 | 2023.02.04 | 추천 1 | 조회 10641 | 이재열 | 2023.02.04 | 1 | 10641 |
촬영 | SharpCap 4.0 한글 매뉴얼 촬영 이재열 | 2023.01.24 | 추천 1 | 조회 12549 | 이재열 | 2023.01.24 | 1 | 12549 |
기타 | 스탈라리움 v1.0 한글 사용자 가이드 - 기초 사용법 [2] 기타 이재열 | 2022.10.10 | 추천 2 | 조회 21794 | 이재열 | 2022.10.10 | 2 | 21794 |
제가 어릴때 가이딩은.. 참 어려웠죠 ㅋㅋ
수동 적도의에 감각에 의존해서 노출 시킨 기억이 문득 났습니다.
저도 추운 겨울 산 속에서 망원경 앞에 쭈그리고 앉아 하여없이 가이드 아이피스를 들여다보면서 컨트롤러를 만지작 거렸던 기억이 납니다. 저는 그때가 천체촬영에 대한 접근이 쉬웠었다는 느낌입니다. 그때는 어찌되었든 촬영까지만 하면 돼었고 그 이후는 현상 및 인화 과정은 현상소에서 알아서 했으니까요. 물론 잘 아는 현상소에 가면 약간의 주문도 하긴 했습니다만... 하여간 반자동 가이드가 심플하긴 했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