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문용으로 아이와 함께 관측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장비
작성자
허동윤 (hdywis)
작성일
2023-08-25 09:53
조회
13105

안녕하세요. 이것저것 찾아보고 공부를 해야하지만 생각보다 장비 범주가 너무 크고 용도도 다양해서 장비 추천을 받고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단 생각하는 구성은 쌍안경에 삼각대 마운트해서 맨눈 관측을 하려고 합니다. 아이(5살)가 관측하기 불편하다면 잠망경 등의 옵션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나중에는 천체망원경 및 경위대 등은 고려하긴 하겠지만 어느 정도 입문 후 차차 공부해 나가려고 합니다.

주요 고려 사항 및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태양계 행성 위주 맨눈 관측, 주로 달, 목성, 토성

2. 이왕이면 크게 보이면 좋으니 고배율 및 중급자들도 사용하시는 스펙

3. 100만원 내외정도 가능하고, 무리하면 그 이상도 가능하지만 최상급보다는 한단계 낮은 중고가 방어 잘 되는 제품

미리 감사드립니다.

 

전체 7

  • 2023-08-25 11:23

    일단 가격적으로 보자면... 100만원 정도면 보급형 정도의 수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돕소니안 형태의 망원경은 기본 구경이 크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도 훌륭한 안시관측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이는 망원경의 구성 중 가대 비용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경통 비용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입니다. 100만원 정도의 투자라면 안시용으로는 8인치 내지 10인치 정도의 돕소니안 구입이 최선입니다.

    그러나 아이와 함께 관측하고자 한다면 쉽지 않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망원경에 눈도 제대로 못맞춥니다. 달과 같이 밝은 대상은 아이피스를 통해 나오는 빛다발이 보이기에 머리를 잡고 눈에 갖다대주기라도 할 수 있지만... 그외 대상은 눈에 갖다대 줄 수가 없습니다. 결국 어린아이의 경우 스스로 눈을 갖다대지 못할 경우 눈으로 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눈이 조금만 틀어져도 아이피스 시야의 대상이 안보입니다.


    • 2023-08-25 12:40

      아이피스로 직접 보는 방법은 아닙니다만... 실시간 촬영을 통해 패드나 휴대폰 화면으로 촬영 결과를 보여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시스템의 망원경 자체 성능은 빈약하지만 디지털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어 거의 전자동으로 사진촬영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휴대폰이나 패드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 스태킹 매수가 많아질수록 대상이 점차 뚜렷해지는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Seestar 망원경을 살펴보세요.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www.hobym.co.kr/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390

      예전에는 이런 류의 망원경이 터무니없이 비쌌었는데... 중국에서 개발하면서 가격이 많이 저렴해졌습니다.


      • 2023-08-25 12:45

        그리고 쌍안경으로도 관측가능한 대상들이 제법 있긴 하지만, 구경도 작고 배율도 낮아서 천체관측은 망원경이 더 낫구요. 어린아이 입장에서는 쌍안경에 절대로 눈을 갖다 맞출 수가 없습니다.


        • 2023-08-25 20:00

          그렇군요. 많은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조언 감사합니다. 해당 내용 기반으로 잘 알아보겠습니다.


          • 2023-08-29 22:15

            코동 구입하시는것이 가장 현명하실듯 하네요.
            제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셀레스트론 트래블 스코프 70mm부터 시작해서 70AZ ==> 스타센스 130AZ ==> 8SE 까지 올라갔기 때문에... (8SE 가기 전까지 몰라서 헛삽질을 했읍죠...)
            8SE 이후에도 코동까지 사버렸네요. 총 3개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 돌이켜 보면 처음 시작할때 좀 알아보고 코동 부터 시작했다면... 이런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 생각엔 나중에 급을 올려서 장비를 새로 갖추시겠다고 하신다면, 코동을 중고로 구입을 하시고... 아이는 발판을 마련해 보여주시는 것이 가장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2023-08-29 22:30

              결국 별보는 것도 장비 빨이라 ... 70AZ나 130AZ 같은경우 가장 힘들었던것은 조금씩 움직이고 싶은데
              사람 손으로 하면 흔들리기도 엄청 흔들리고 확대해서 조준 하는 것도 쉽지가 않더군요.
              결국 자동 또는 모터 같은 것을 이용해야 일단 본인이 힘이 덜듭니다. 힘이 덜들어야 별을 자주 보겠죠.
              그래서 종착지가 정말 엄청난 손재주가 아닌이상 자동화가 된 경위대나 적도의를 구입하는 것이겠지요... (촬영 포함하여...)


              • 2023-08-30 11:49

                제 생각엔 아이가 5살이라면 맨눈으로 부모와 밤하늘을 바라보며 별자리나 행성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고 별을 찾고 하는 경험이 훨씬 접근하기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후에 아이가 흥미를 가지게 되고 망원경도 스스로 만질 나이가 되어서 사도 충분하다고 생각됩니다.


                ASTROMART 게시물 신고
                신고사유
                게시물 신고는 하루 최대 2건까지만 가능합니다.
                악용자에 대해서는 이용제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
                구분제목작성자작성일추천조회
                장비
                입문용 망원경 추천 좀 해주세요 [3]
                장비
                고민재 | 2023.09.15 | 추천 0 | 조회 4564
                고민재2023.09.1504564
                장비
                천체사진 경통 [4]
                장비
                김태환 | 2023.09.14 | 추천 0 | 조회 4882
                김태환2023.09.1404882
                장비
                생초보입니다 코동 컨트롤러 잘 아시는분 조언좀 부탁합니다 [7]
                장비
                나주성 | 2023.09.13 | 추천 0 | 조회 4957
                나주성2023.09.1304957
                장비
                경통 찌그러짐 [3]
                장비
                김한성 | 2023.09.13 | 추천 0 | 조회 5015
                김한성2023.09.1305015
                장비
                망원경 경통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장비
                김은우 | 2023.09.06 | 추천 1 | 조회 7800
                김은우2023.09.0617800
                장비
                고투 전원 연결 [6]
                장비
                박헌서 | 2023.09.03 | 추천 0 | 조회 9060
                박헌서2023.09.0309060
                장비
                입문 망원경 선택장애입니다... [8]
                장비
                임용지 | 2023.08.30 | 추천 0 | 조회 11275
                임용지2023.08.30011275
                장비
                입문용으로 아이와 함께 관측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7]
                장비
                허동윤 | 2023.08.25 | 추천 0 | 조회 13105
                허동윤2023.08.25013105
                관측
                요거 뭔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4]
                관측
                이기혁 | 2023.08.14 | 추천 0 | 조회 17360
                이기혁2023.08.14017360
                촬영
                프로젝션(투영) 방식 촬영 문의 [8]
                촬영
                임주영 | 2023.08.14 | 추천 0 | 조회 15282
                임주영2023.08.14015282
                장비
                [질문] 본격적인 관측 및 촬영을 해볼까 합니다. [9]
                장비
                박지은 | 2023.08.12 | 추천 0 | 조회 15916
                박지은2023.08.12015916
                장비
                옥상에 망원경을 설치하고 방안에서 콘트롤 및 고화질모니터로 볼 수 있는 구조를 알고 싶어요 [2]
                장비
                이광일 | 2023.08.01 | 추천 0 | 조회 20133
                이광일2023.08.01020133
                장비
                천체 관측및 촬영을 해보려 합니다. [1]
                장비
                서민수 | 2023.07.14 | 추천 0 | 조회 26826
                서민수2023.07.14026826
                장비
                인치 볼트 규격 질문입니다 [2]
                장비
                이재열 | 2023.07.05 | 추천 0 | 조회 29265
                이재열2023.07.05029265
                촬영
                남반구 적도의 셋팅 질문 [1]
                촬영
                김양준 | 2023.06.22 | 추천 0 | 조회 32913
                김양준2023.06.22032913
                장비
                질문드립니다. 셀레스트론 5SE경통과 127SLT 경통의 차이사 무엇인가요? [3]
                장비
                김명수 | 2023.06.13 | 추천 0 | 조회 35814
                김명수2023.06.13035814
                촬영
                완전 사진파 [1]
                촬영
                정대원 | 2023.06.10 | 추천 0 | 조회 34473
                정대원2023.06.10034473
                장비
                입문용 천체망원경 추천 [2]
                장비
                최민영 | 2023.06.09 | 추천 0 | 조회 34826
                최민영2023.06.09034826
                장비
                캐논 600d 직초점 촬영 (별린이 질문) [2]
                장비
                박헌서 | 2023.06.09 | 추천 0 | 조회 34012
                박헌서2023.06.09034012
                장비
                고등학교 동아리 활동으로 살만한 망원경 추천해주세요 [7]
                장비
                한석호 | 2023.06.08 | 추천 0 | 조회 33857
                한석호2023.06.08033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