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린이를 도와주세요
장비
작성자
박영민 (virusjjang84)
작성일
2023-04-27 23:25
조회
27823
안녕하세요 천체를 좋아하는 새내기 별린이 입니다 장비 구매 관련 고수님들 도움을 받아보고자 문의 드립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개인적으론 스카이워처 8 고투돕 보고 있습니다)
1. 지역 : 인천 외곽(별이 잘 보이는 시골)
2. 안시 / 사진 : 사진 및 촬영
3. 대상 : 딥스카이, 성운, 성단 등
4. 구매 예산 : 100 ~ 150(약간 상의 가능)
5. 기타, 할말 : 궁금한건 많지만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경통, 가대, 경위대 등등 따로 사는게 좋은지 아니면 그냥 통째로 사는게 좋은지, 따로 사면 어떤식으로 구성을 하여 구매하면 되는지 등등(참고로 경위대 보단 촬영 시 적도의가 좋다 들어 적도의 쪽으로 보고 있습니다. 예산 고려 적당한)
구분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장비 | 입문용 망원경 추천 좀 해주세요 [3] 장비 고민재 | 2023.09.15 | 추천 0 | 조회 4572 | 고민재 | 2023.09.15 | 0 | 4572 |
장비 | 천체사진 경통 [4] 장비 김태환 | 2023.09.14 | 추천 0 | 조회 4890 | 김태환 | 2023.09.14 | 0 | 4890 |
장비 | 생초보입니다 코동 컨트롤러 잘 아시는분 조언좀 부탁합니다 [7] 장비 나주성 | 2023.09.13 | 추천 0 | 조회 4964 | 나주성 | 2023.09.13 | 0 | 4964 |
장비 | 경통 찌그러짐 [3] 장비 김한성 | 2023.09.13 | 추천 0 | 조회 5022 | 김한성 | 2023.09.13 | 0 | 5022 |
장비 | 망원경 경통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장비 김은우 | 2023.09.06 | 추천 1 | 조회 7808 | 김은우 | 2023.09.06 | 1 | 7808 |
장비 | 고투 전원 연결 [6] 장비 박헌서 | 2023.09.03 | 추천 0 | 조회 9066 | 박헌서 | 2023.09.03 | 0 | 9066 |
장비 | 입문 망원경 선택장애입니다... [8] 장비 임용지 | 2023.08.30 | 추천 0 | 조회 11281 | 임용지 | 2023.08.30 | 0 | 11281 |
장비 | 입문용으로 아이와 함께 관측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7] 장비 허동윤 | 2023.08.25 | 추천 0 | 조회 13112 | 허동윤 | 2023.08.25 | 0 | 13112 |
관측 | 요거 뭔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4] 관측 이기혁 | 2023.08.14 | 추천 0 | 조회 17363 | 이기혁 | 2023.08.14 | 0 | 17363 |
촬영 | 프로젝션(투영) 방식 촬영 문의 [8] 촬영 임주영 | 2023.08.14 | 추천 0 | 조회 15285 | 임주영 | 2023.08.14 | 0 | 15285 |
장비 | [질문] 본격적인 관측 및 촬영을 해볼까 합니다. [9] 장비 박지은 | 2023.08.12 | 추천 0 | 조회 15919 | 박지은 | 2023.08.12 | 0 | 15919 |
장비 | 옥상에 망원경을 설치하고 방안에서 콘트롤 및 고화질모니터로 볼 수 있는 구조를 알고 싶어요 [2] 장비 이광일 | 2023.08.01 | 추천 0 | 조회 20135 | 이광일 | 2023.08.01 | 0 | 20135 |
장비 | 천체 관측및 촬영을 해보려 합니다. [1] 장비 서민수 | 2023.07.14 | 추천 0 | 조회 26828 | 서민수 | 2023.07.14 | 0 | 26828 |
장비 | 인치 볼트 규격 질문입니다 [2] 장비 이재열 | 2023.07.05 | 추천 0 | 조회 29267 | 이재열 | 2023.07.05 | 0 | 29267 |
촬영 | 남반구 적도의 셋팅 질문 [1] 촬영 김양준 | 2023.06.22 | 추천 0 | 조회 32915 | 김양준 | 2023.06.22 | 0 | 32915 |
장비 | 질문드립니다. 셀레스트론 5SE경통과 127SLT 경통의 차이사 무엇인가요? [3] 장비 김명수 | 2023.06.13 | 추천 0 | 조회 35816 | 김명수 | 2023.06.13 | 0 | 35816 |
촬영 | 완전 사진파 [1] 촬영 정대원 | 2023.06.10 | 추천 0 | 조회 34475 | 정대원 | 2023.06.10 | 0 | 34475 |
장비 | 입문용 천체망원경 추천 [2] 장비 최민영 | 2023.06.09 | 추천 0 | 조회 34828 | 최민영 | 2023.06.09 | 0 | 34828 |
장비 | 캐논 600d 직초점 촬영 (별린이 질문) [2] 장비 박헌서 | 2023.06.09 | 추천 0 | 조회 34014 | 박헌서 | 2023.06.09 | 0 | 34014 |
장비 | 고등학교 동아리 활동으로 살만한 망원경 추천해주세요 [7] 장비 한석호 | 2023.06.08 | 추천 0 | 조회 33859 | 한석호 | 2023.06.08 | 0 | 33859 |
천체사진도 촬영 대상에 따라 장비의 운용이 달라집니다. 카메라와 삼각대만으로도 가능한 일주 촬영도 있고... 카메라와 간이 적도의만 있으면 가능한 광시야 성야 촬영... 그리고 망원경이 필요한 행성촬영... 모든 장비가 갖추어져야 하는 딥스카이 촬영 등으로 나누어지죠. 처음부터 모든 것을 다 해보겠다라고 한다면 제대로 장비를 갖추어야 하고... 예산은 턱없이 부족하죠.
본격적인 사진을 촬영하고자 한다면... 3인치급 소형 굴절 망원경, 추적 가능한 적도의, 가이드시스템, 카메라(천문전용카메라면 더욱 좋구요) 등이 필요하죠. 그리고 장비를 운용할 각종 소프트웨어도 다루어야 합니다. 경위대로는 노출 시간에 제한이 발생하게 됩니다.
물론 생각하시는 8인치 GOTO 돕으로도 사진촬영이 가능하긴 합니다. 별이 흐르지 않을 정도의 짧은 노출(몇 초 정도)로 수천장을 촬영하여 데이터를 스택하여 처리하는 방법인데... 생각보다 결과물이 나쁘지는 않습니다만 한계는 있습니다. 촬영하려는 대상과 원하는 사진 퀄리티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할듯 합니다.
그리고 세트 판매는 저가형 망원경에서 흔히 사용되는 판매 방식이고... 사진촬영에 사용할만한 정도의 구성은 경통/가대/가이드시스템 등을 워너하는 제품으로 따로 구매해서 구성하게 되죠. 저가형으로 시작하면 얼마 안가 다 바꾸게 되죠.
아 그렇군요 우선 소중한 시간을 내주셔서 조언을 주신 이재열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저는 딥스카이를 좋아합니다만, 성운, 성단도 함께 묶어서 안시도 했다가 촬영으로도 가능한 경통, 가대 등이 가능한 추천 제품이 있으실까요? 카메라는 기존에 가지고 있건 소니 a6000이 있습니다
성단/성운/은하와 같은 딥스카이 안시관측을 즐기려면 일단 구경이 커야 합니다. 8인치 정도는 되어야 할만하죠. 반면에 이 정도급의 경통으로 사진촬영을 하려면 가대 가격 자체도 만만치 않습니다. 그래서 안시와 사진 겸용으로 8인치급 GOTO 돕소니안도 하나의 대안이긴 합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돕소니안은 안시관측용 장비죠. 그럼에도 사진 퀄리티를 따지지 않는다면 사진촬영에도 사용 가능하긴 합니다. 그러나 노출 시간 제약에 따른 한계는 분명히 있습니다.
반면에 10인치나 12인치 정도의 수동 돕소니안으로 안시관측을 즐기다가... 나중에 별도의 사진촬영 시스템을 꾸미는 것도 괜찮구요. 일주촬영이나 성야 촬영 정도는 큰 돈 들이지 않아도 가능합니다. 그러면서 천체사진에 대한 노하우도 익힐 수 있구요. 다만 사람에 따라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다 보니 딱히 정답이란 없습니다.
제 경우는 일단 안시관측을 하다가... 밤하늘에 익숙해지고 나서 마음이 동하면 그때 사진촬영장비를 장만해서 시작해도 늦지 않다는겁니다. 많은 분들이 안시도 가능하고 사진도 가능한 장비를 찾곤 하는데... 아마추어 수준에서 그런 장비는 없습니다. 둘중 어느 하나를 적당히 타협하는거죠. 위에 8인치 GOTO 돕소니안도 안시에 치중한 장비이지만... 굳이 사진촬영을 하고 싶을 경우 퀄리티만 따지지 않는다면 가능하긴 하다입니다. 반면에 10인치나 12인치 수준의 수동 돕소니안에 비해 가격도 비싸면서 안시성능은 떨어지죠.
비록 이론으로 도움 받아서 하나씩 배우고 있지만 정말 어렵네요 어떻게 시작을 해야할 지 감을 잡기가 힘듭니다 사진 퀄리티는 전문가용 처럼 바라진 않습니다 개인만족으로 촬영해서 sns나 사진첩 같은 곳에 올려두고 별 멍? 같이 보고 싶을 뿐입니다 안시도 안시지만 화질이 좀 떨어져도 두고두고 볼 수 있는 사진, 영상촬영을 하고 싶습니다ㅎ 물론 추천해주신 안시관측 하다가 촬영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또한 시작을 경통, 가대 등이 정해지지 않아 시작을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질문만 계속 드려 송구합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천체관측을 취미로 계속한다면 한 세트의 장비만으로 영원히 사용하지는 않을겁니다. 장비를 계속 바꾸게된다는 뜻이죠. 안시관측을 위주로 하신다면 10인치나 12인치 수동 돕소니안이 최선의 선택이 됩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광학적 성능은 좋기 때문이죠. 이렇게 수동 돕소니안을 사용하게 되면 사진촬영은 행성촬영 정도에 국한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중에 사진에 관심이 생겨 안시를 안하게 되면 중고로 판매를 해도 되구요. 물론 나중에 사진을 하더라도 안시 장비는 계속 보유하면서 사용해도 되구요. 10인치면 GSO XQ-10이나 스카이와처의 10인치 신축식 돕소니안이 무난하구요. 12인치면 미드 라이트브릿지 트러스식 돕소니안 추천합니다. 스카이와처 12인치 신축식도 괜찮구요.
아니면 안시 성능은 약간 포기하고 8인치 정도의 GOTO 돕소니안을 사용하면 안시도 적당히 하면서... 제한적이긴 하지만 사진촬영도 다소 무대뽀적(?)인 방법으로도 가능하긴 합니다. GOTO 돕소니안은 스카이와처 돕소니안으로 하시면 됩니다.
본격적으로 사진에 집중하겠다 하신다면... 150만원 정도로는 적절한 구성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소구경 APO 굴절도 다양하구요. 일반 경통에 플래트너를 사용하느냐... 비싸지만 플래트너가 내장된 페트발 경통을 사용할 것이냐... 가대도 적당한 것으로 구해야 하구요. 가이드 시스템도 갖추어야 하구요. 따라서 본격적인 시스템은 지금으로서는 시기상조이고... 안시를 하다 보면 밤하늘에 익숙해지고... 그러다 보면 사진용 장비에 대해서도 저절로 눈이 떠지게 됩니다.
그렇군요.. 번거로우셨을텐데 매번 답장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궁금한건 한없이 많지만 스스로도 노력을 해야 공부가 되겠네요 많은 도움을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꾸벅